오징어 게임의 세트 디자인은 단순한 비주얼을 넘어서 사회 구조의 잔혹함을 그대로 반영합니다. 이 글에서는 그 구조적 상징성과 현실과의 유사성을 분석합니다.
서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오징어 게임>이 처음 공개되었을 때, 시청자들은 그 화려한 색감과 독특한 세트에 매료되었습니다. 그러나 그 시각적 매력 뒤에는 단순한 미학 이상의 것이 존재합니다. <오징어 게임>의 물리적·사회적 구조는 현대 사회의 위계와 압박을 그대로 반영하며, 때로는 현실보다도 더 현실적으로 느껴질 정도입니다.
비현실적인 미학 속 현실의 뿌리
처음엔 사탕처럼 알록달록한 계단, 인형 같은 게임장, 밝게 빛나는 복도가 마치 동화 속 공간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초현실적 세트는 잔혹한 진실을 은폐합니다. 각 공간은 사회 경쟁의 인위성을 재현하고 있으며, 겉보기에는 화려하지만 그 속은 약자를 짓누르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마치 현대 사회의 축소판처럼 느껴집니다.
계급과 권력의 상징적 미로
기숙사의 미로 같은 계단은 사회적 이동의 환상을 상징합니다. 참가자들은 끊임없이 오르내리지만 결국 같은 구조 속에 갇혀 있을 뿐입니다. 이는 중하위 계층이 아무리 움직여도 탈출구 없는 구조 속에 머무르게 되는 현대 자본주의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투영합니다.
게임 구조에 담긴 자본주의의 원리
각 게임은 자본주의의 단면을 은유합니다.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는 예고 없는 탈락을, 설탕뽑기는 압박 속 완벽함을 요구합니다. 유리다리 게임은 위험 분산의 구조를 반영합니다. 앞서 나가는 사람은 희생을 치르고, 뒤따르는 사람은 그것을 통해 생존합니다. 이는 자본주의 사회에서 노력보다 시기와 위치가 생존을 좌우하는 구조와 유사합니다.
감정 구조까지 설계된 시스템
세트의 구조는 감정적인 부분까지 계산되어 있습니다. 기숙사는 벽이 없고 모든 행동이 노출되며, 감시 카메라가 모든 참가자를 주시합니다. 이는 오늘날 기술과 직장 문화 속에서 느끼는 감시와 통제, 그리고 신뢰의 붕괴를 떠올리게 합니다. 결국 믿음은 사치가 되고, 공포와 불신이 모든 것을 지배하게 됩니다.
익숙하게 느껴지는 낯선 세계
<오징어 게임>의 가장 뛰어난 점은 완전히 허구로 만든 세계를 실제보다 더 현실적으로 느껴지게 만든다는 점입니다. 세트는 단순한 배경이 아닌, 이야기를 이끄는 주체입니다. 그리고 그 세트는 이 드라마가 단지 한 편의 오락물이 아니라, 우리가 사는 세상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결론: 현실을 비추는 픽션
<오징어 게임>은 새로운 디스토피아를 상상한 것이 아닙니다. 오히려 우리가 이미 살고 있는 디스토피아를 확대해서 보여주는 데에 성공했습니다. 그 구조적 설계는 단순한 미장센이 아니라, 우리가 살아가는 시스템의 축소판입니다. 이 드라마는 단순한 관람이 아닌, 우리 삶의 규칙을 다시 되돌아보게 만드는 거울입니다.